목록전체 글 (126)
console.log
정규표현식(RegExp) 정규식, Regular Expression 역할 문자 검색(Search) 문자 대체(replace) 문자 추출(extract) 테스트 사이트 https://regexr.com/ 정규식 생성 // 생성자 new RegExg('표현', '옵션') new RegExg('[a-z]', 'gi') // 리터럴 /표현/옵션 /[a-z]/gi 예제 문자 const str = ` 010-1234-5678 thesecon@gmail.com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. abbcccdddd ` 메소드 메소드 문법 설명 test 정규식.test(문자열) 일치 여부(Boolean) 반환 match 문자열.match(정규식) 일치하는 문자의 배열(Arr..
화살표 함수 x => x * 2 기본적인 로직을 축약형으로 줄일 수 있음 const double = x => x * 2; console.log(double(7)); 즉시실행함수 IIFE, Immediately-Invoked Function Expression const a = 7; (function () { console.log(a * 2) }()); 호이스팅(Hoisting) 함수 선언부가 유효범위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현상 const b = 7; double2(); function double2 () { console.log(b * 2) }; 타이머 함수 setTimeout(함수, 시간) : 일정 시간 후 함수 실행 setInterval(함수, 시간) : 시간 간격마다 함수 실행 clearTimeo..

데이터 불변성 ▶ 원시 데이터: String, Number, Boolean, undefined, null 쉽게 말하면 얘네는 생긴 게 같으면 같은 데이터 ▶ 참조형 데이터: Object, Array, Function 값이 같아도 복사하지 않으면 다른 데이터(다른 메모리 주소 가리킴) 얕은 복사(shallow copy) const user = { name: 'yeji', age: 24, emails: ['syg9272@gmail.com'] } const copyUser = user console.log(copyUser === user) // true 객체를 직접 대입하면 참조에 의한 할당이 이루어져 같은 메모리 주소 가리킴 즉, 원본 객체를 참조하는 것 여기서 user의 속성을 수정한 뒤 출력하면 copy..

GitHub 연동하는 방법 … 버전 관리와 업로드 … 가장 먼저 GitHub에서 Repositorie 생성하기 여기까지 완료했다면 다시 VS code로 이동해서 git status 명령어를 통해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 빨간색으로 나온 파일들을 추적이 가능한 형태로 수정하기 위해 git add . 버전 생성하기 git commit -m ' 메시지 ' git log를 통해 확인 업로드 git push origin (branch 이름) 우선은 master branch로 업로드 다시 GitHub로 돌아가서 확인해 보면 업로드 성공 · · · Next 버전 되돌리기와 branch

Git을 활용한 버전 관리 개발자라면 꼭 알아둬야 할 Git 사용법 . . . 우선 git --version 명령어를 통해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파악해 준다 설치는 요기서 https://www.git-scm.com/ 다음 단계는 github 가입하기 https://github.com/ OS가 달라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개행문자(Newline) 설정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 Windows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input Linux, macOS 커밋(버전 생성)을 위한 사용자 정보 입력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'syg9272' github 사이트에 뜨는 내 아이디 git config --..
변수 유효범위 (Variable Scope) ▶var : 함수레벨 ▶let, const : 블록레벨 메모리 누수로 발전할 가능성 때문에 관리의 편리를 위해 let과 const 사용 형 변환 (Type conversion) ▶Truthy (참 같은 값) true, { }, [ ], 1, 2, 'false', -12, '3.14' ... ▶Falsy (거짓 같은 값) false, '', null, undefined, 0, -0, NaN NaN은 숫자형이지만 숫자가 아닌 값 까먹은 내용이라 적어놓기 !